혈변 색깔과 종류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까지)

반응형

혈변이란 무엇인가? (색깔과 종류)

반응형

혈변은 크게 흑색변과 혈변으로 나뉜다. 검은 벤치는 자장면 소스나 타르와 같은 검은 벤치를 말한다. 상부위장관 출혈의 경우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이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과 반응해 헤마틴으로 변하면서 어두운 색이 나타난다. 이 경우 대변에 헤마틴이 섞여 있어 대변 색깔이 검게 변한다. 그러나 상부위장관 출혈이라 하더라도 출혈이 너무 많거나 출혈이 급격하면 혈액이 위산과 섞일 시간이 없어 대변 색깔이 검지 않고 선홍색 대변이 제거된다. 보통 상부위장관 출혈이 발생하면 구토, 어지럼증, 창백함, 허약함, 땀, 통증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혈변은 대변에 선홍색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말한다. 선홍혈변은 소장이나 대장, 직장 등 하부 위장관에서 출혈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하부 위장관에 출혈이 생기면 혈액이 위액과 섞이지 않아 대변 색깔이 검지 않다. 출혈 부위가 항문에 가까울수록 대변에 섞인 혈액의 붉은 색이 된다.

혈변에는 많은 형태가 있다. 붉은 피만 보이고, 피가 보이고, 모양이 변에 피가 섞여 나오거나, 피가 섞인 설사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혈변의 패턴을 의사에게 자세히 설명하면 출혈의 원인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하등위장관에서 출혈이 있어도 출혈이 장에 오래 머물다 검게 변하기 때문에 하등위장관으로 피가 흐르기 때문에 대변이 검게 변할 수 있다.

 

혈변의 원인

반응형

검은 변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식도질환: 식도암, 식도염, 식도열상, 식도정맥류 파열
  • 위질환 : 위궤양, 위염, 위암, 혈관형성이상
  • 소장질환: 궤양, 염증성 장질환, 소장암
  • 의약품 및 식품 : 시금치, 선지 등 철분이 함유된 식품, 철분제제제, 변비철제제제, 비스무트제제제(데놀, 비스로겔, 피롤리드 등), 감초

혈변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장암, 대장 용종, 궤양성 대장염, 허혈성 장질환, 이질, 혈관이형성증, 게실, 위장질환 등이 있다.
  • 직장 질환: 직장암, 다궁근
  • 항문질환 : 치질, 치아, 누공, 항문열상

 

혈변의 증상

반응형

단기간에 다량의 출혈이 발생하면 메스꺼움, 복부팽만감, 발작, 설사, 복통(변의 움직임이 증가해 장내에서 가스가 이동하는 소리)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노인과 빈혈이 있는 사람을 제외한 성인에게서는 혈액이 빠르게 사라지더라도 전신 증상이 나타난다. 500㎖ 이상의 혈액이 손실되면 기립성 저혈압, 실신, 메스꺼움, 갈증, 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누락된 혈액이 전체 혈액량의 40%에 달할 경우 저혈장 쇼크, 창백한 얼굴, 차가운 몸, 촉촉한 피부, 저혈압, 빈맥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혈변의 치료방법

위장출혈로 환자가 병원에 올 때는 우선 환자 몸에 남아 있는 혈액이 산소를 각 장기로 운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지 확인해야 한다. 환자가 다량의 혈액을 잃고 쇼크 상태에 빠졌을 때는 혈액순환을 유지하기 위해 체액치료나 수혈을 통해 혈압을 올리는 것이 우선이며, 혈압이 정상화된 후 출혈이나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혈압이 정상 범위 내인 환자나 외래를 찾는 환자의 경우 질병의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내시경(위내시경, 대장내시경), 혈관조영, 스캔 등을 통해 출혈 부위를 찾은 후 출혈을 막기 위한 치료를 시작한다. 이들 검사와는 별도로 원인이 발견되지 않을 경우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개복술을 시행할 수 있다.

내시경으로 파열된 혈관을 직접 막고, 밧줄로 묶고, 혈관에 혈액이 유입되지 않도록 스테이플로 혈관을 묶고, 고주파로 혈관을 응고시키는 등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이 있다. 내시경 치료가 불가능할 경우 응급으로 열어 출혈 부위를 꿰매거나 절단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혈변의 가장 흔한 원인인 치질(흔히 치질이라고 한다)의 경우 하루에 두 번 이상 앉아서 목욕(35도에서 15분 정도 따뜻한 물로 항문을 분사)하고 변비 예방을 위해 고섬유질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