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뇨 원인, 자가진단, 치료법은 무엇일까?

반응형

혈뇨 정의

반응형

혈뇨는 소변에 적혈구가 섞여 배설되는 비정상적인 양으로 약물이나 음식물, 과도한 운동 등의 영향만으로 소변이 붉게 나타나는 현상과는 다르다. 시각적, 현미경적 혈뇨를 통해서만 보이는 혈뇨를 현미경적 혈뇨라고 한다. 혈뇨가 적다고 해서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니다.



혈뇨 원인

반응형

일시적인 혈뇨는 흔한 증상이며 월경, 감염, 알레르기, 운동, 외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지속적인 혈뇨의 경우 신장에서 외부 요도에 이르기까지 소변 통로의 모든 부분에 출혈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칼슘이나 요산이 소변으로 과도하게 배설돼도 혈뇨가 발생할 수 있다. 혈뇨의 일반적인 원인은 소변 감염, 외상, 전립선염, 종양이다.
다만 각종 검사에도 출혈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이 경우 정기적으로 외래 진료를 받고 다른 이상이 발생하는지 관찰하는 것이 좋다.

 

혈뇨 증상

반응형

소변은 빨갛게 보이거나 검붉게 보입니다. 소변관에 출혈이 있을 경우 출혈량에 따라 선지나 젤리 등 혈종이 동반될 수 있다.



혈뇨 진단/검사

반응형

지속적인 혈뇨가 있거나 혈뇨가 많을 때는 원인에 대한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혈뇨는 신장에서 외부 요도에 이르는 소변 통로 곳곳에 출혈이 있다는 뜻으로 출혈 부위가 어디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찾기 위해 상황에 따라 다양한 소변검사, 혈액검사, 신장초음파, 컴퓨터단층촬영(CT)검사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추가 검사와 치료는 신장에서 출혈하는 경우와 소변통로에서 출혈하는 경우로 구분한다. 신장 출혈의 경우 신장 질환의 원인을 찾기 위해 혈액 검사와 단백뇨 검사, 신장 생검 등이 필요할 수 있다. 소변 출혈의 경우 특히 노인들이 시각 혈뇨가 있거나 흡연자인 경우 종양에 대한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